추석 지방쓰는법 아버지 어머니 부모 지방쓰는법

by 으니 posted Oct 01, 2020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ESC닫기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

 추석 지방쓰는법 아버지 어머니 부모 지방쓰는법

 

추석 명절 때 아버지, 어머지, 부모

지방을 쓰려고 하는데

어떻게 쓰는 게 맞는건지

몰라 난감해 하는 분들이 심심찮게 보입니다

 

물론 지방을 많이 써본 분들은

거침없이 써내려 가지만

지방을 써본적이 없다면

난감해 할 수밖에 없습니다

 

 

eunni-1.jpg

 

 

원래 지방을 작성할 때는 반드시

백지에 붓글씨로 씁니다

 

붓글씨로 쓰는 게 번거롭다 보니 

붓펜으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

 

지방 종이는 반듯한 직사각형에서 크기를 맞추어

윗부분은 아치나 각 모양으로 접어 줍니다

 

 추석 지방쓰는법 중에서

아버지 어머니 부모 지방쓰는법은

 

제사를 지낼 때 부모님 중 한분만 살아 계시면

제사를 단독으로 지내니 지방에도 한분만 씁티다.

 

 두 분 다 돌아가신 경우에는

 같이 제사를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님을 같이 씁니다.

 

두 분이 다 돌아가셨을 때

지방을 쓰는 방법은

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

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씁니다.

 

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

사람(제주, 祭主)의 관계를 적고,

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은 후

마지막에 '신위(神位)'라고 적는다.

 

아버지는 '고(考)', 어머니는 '비(妣)',

조부모는 '조고(祖考)', '조비(祖妣)',

증조 부모는 '증조고(曾祖考)', '증조비(曾祖妣)'라 합니다

 

앞에 현(顯)을 써서 현고(顯考), 현비(顯妣),

현조고(顯祖考), 현조비(顯祖妣),

현증조고(顯曾祖考), 현증조비(顯曾祖妣)'라고 적습니다.